![[MsSQL] SQL Server 2019 Standard 기본 설치 (Windows Server)](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QmzRM%2FbtsGMJvRzCX%2FbuKEeD1b82jzgJMEsL7TK1%2Fimg.png)
SQL Server 2019 Standard 여러종류의 데이터베이스를 설치해보았지만, 역시 윈도우 기반의 SQL Server 설치가 제일 편리하다. UI도 제공되고, 한글 번역과 다음 다음 버튼으로 손쉽게 설치할 수 있으니, Oracle 이나 MariaDB등 보다 쉽고 편리하다 생각이 든다. Server 설치 방법 SQL Server 2019 Standard ISO 파일을 실행하여 설치센터 창을 연다. 설치 -> 새 SQL Server 독립 실행형 설치 또는 기존 설치에 기능 추가 선택 아래와 같은 설치 창이 뜨며, 제품 키 입력 창이 나온다. 제품키 입력 / 확인 후 다음 동의함 체크 후 다음 업데이트 확인은 따로 필요하지 않기에 미체크 후 다음 SQL Server를 사용함에 있어 필수적인 인스턴스 기..
![[Linux] FTP 설치 및 사용 - FTP Server, FTP Client 설치](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KHnTi%2FbtsFKOsc5bu%2FWxvamiyP7Xtxz6kS8mISE0%2Fimg.png)
FTP 원격지에 파일을 다운받거나, 업로드를 하여 파일을 전송해야 할 때가 있다. 이럴때 사용되는 일반적인 방법이 바로 FTP(File Transfer Protocol)를 활용하는 방법이다. 리눅스 서버에서 FTP를 사용하기 위해 원격지의 FTP 서버와 로컬의 FTP 클라이언트에 대해 설치하는 방법 및 사용법에 대해 간략하게 소개하도록 하겠다. FTP Server - vsftpd FTP 서버는 원격지를 말한다. 우리가 접속하여 파일을 업로드 하거나, 다운로드 하는 곳을 말한다. FTP 서버 서비스가 설치되어 실행되고 있어야 FTP(파일 전송 프로토콜)를 사용하여 접속 할 수 있다. CentOS7을 사용하는 리눅스 환경에서는 vsftpd라는 FTP Server 서비스를 이용한다. vsftpd의 설치와 세팅..
![[Ignite][Linux] 3-1. Config.xml - Memory / disk 관련 기본 설정](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ebtBon%2FbtsFb9in3Uc%2FwSJYtknKoe41x60K4wgJZk%2Fimg.jpg)
Ingite Config 옵션 Ignite의 옵션들은 Config.xml 파일을 통해 적용을 하는것을 기본으로 한다. Config.xml 파일에서 설정 할 수 있는 옵션들은 매우 많지만, 이번 포스팅에서는 운영에 직관적으로 필요한 간단한 옵션들 중 Memory와 Disk관련 된 설정에 대해서 적용해보도록 하겠다. 이전 포스팅에서 config.xml파일을 마운트해서 사용하는 방법을 통해 도커 컨테이너에서 실행 될 Ignite에 옵션들을 적용해본다. [Ignite][Linux] 2. Setting - Docker를 활용한 Ignite 세팅 default-config.xml Ignite는 기본적으로 다른 설정이 없다면, {$IGNITE_HOME}/config 에 위치한 default-config.xml을 불러..
![[Docker][Linux] (1) CentOS7 에서 도커 설치 및 Data Root DIR 변경](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5hBn0%2FbtsDZMQGADy%2FkGO6ULUzY90ghJk7MOJryk%2Fimg.png)
Docker Windows의 Docker Desktop과 달리 Linux의 Docker에서는 시각적인 UI로 딱 보이지가 않기에 조금 어려울 수 있으나, 우리 개발자들은 이런 쉘 환경에 익숙 할 거라 생각하며, CentOS7에 도커를 설치하는 내용을 간단히 정리해보도록 한다. Docker Repository Setting yum install -y yum-utils yum-config-manager --add-repo https://download.docker.com/linux/centos/docker-ce.repo yum 명령어를 통해 Docker repository를 다운받는다. 다운받은 repo파일은 /etc/yum.repo.d/ 경로에 있으며, 위치에 해당 repo파일이 생성됨을 확인한다. cd ..
![[MariaDB][Linux] Log Setting (2) - Error Log 설정하기](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ylK0o%2FbtsDQZWobOC%2FXG8kwoIq0uyP34SaW4Iaq1%2Fimg.png)
MariaDB Error Log 설정 MariaDB에는 기본으로 기록하는 Log 인 Error 로그가 있다. Error Log는 따로 On/Off의 개념은 없지만, Log 파일이 설정되어 있지 않아서 저장되고 있지 않기에 로그를 저장하기 위해 로그 파일의 위치를 설정해주도록 한다. Error Log MariaDB의 Error Log는 서버의 운영 중에 발생한 심각한 오류나 테이블 손상, MariaDB 서비스 On/Off등에 대한 중요 정보에 대해서 기록하며, 기록의 자세한 내용을 옵션으로 조절 할 수 있다. Error Log 설정 확인 mysql > show variables like '%log_error%'; 아직 Log 파일이 설정되어 있지 않는 상태이다. 해당 로그파일 경로에 절대 경로 혹은 DAT..
![[MariaDB][Linux] MariaDB 설치 - Server/Client 기본 설치 방법](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LbMtn%2FbtsltjZQixi%2Fd8fGLfJPEDExkyVztdWBxK%2Fimg.png)
Intro 안녕하세요. 초보 DBA 다뉴입니다. 오늘은 CentOS7에 MariaDB를 설치하는 내용에 대해 한번 남겨볼까합니다. 실무에서 MariaDB를 사용하고 있는데요. 무료 DB이다보니 각 서비스별로 MariaDB를 세팅하여, 여러 업무에 사용중에 있습니다. 설치하는 과정을 많이 진행해 보기도하고, 여러가지 다른기능과 함께 쓰기도했는데요. 그 중에 딱 MariaDB 설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죠! 나머지는 다른 포스팅에서 하나하나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MariaDB 설치 1. Setting yum을 통해 필요한 패키지들을 설치 yum -y update yum -y install net-tools yum -y install epel-release cmake socat rsync yum -y gro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