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DATABASE86 [DBA][MsSQL] Index 사용량 조회 / 미사용 Index 확인 자주 쓰는 쿼리 - Index 사용량 조회 테이블 조회 효율을 위해 인덱스를 생성하여 사용하는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고 업무 계획의 방향성이 바뀌다보면, 이렇게 생성하여 사용하던 인덱스들 중 사용하지 않게 되는 인덱스가 생길 수 있다. 이렇게 사용하지 않는 인덱스를 한번씩 정리를 해주게 된다면, 테이블의 DML작업에 대해 효율이 조금이나마 올라갈 수 있게 되는데, 이럴 때 도움이 될 만한 인덱스 사용량 조회 쿼리에 대해서 한번 소개해보도록 한다. Query 인덱스 사용량을 조회하는 쿼리는 아래와 같다. use [DATABASE NAME] select db_name(s.database_id) as database_name, object_name(s.object_id) as table_name,.. 2024. 2. 10. [MariaDB][Linux] Log Setting (2) - Error Log 설정하기 MariaDB Error Log 설정 MariaDB에는 기본으로 기록하는 Log 인 Error 로그가 있다. Error Log는 따로 On/Off의 개념은 없지만, Log 파일이 설정되어 있지 않아서 저장되고 있지 않기에 로그를 저장하기 위해 로그 파일의 위치를 설정해주도록 한다. Error Log MariaDB의 Error Log는 서버의 운영 중에 발생한 심각한 오류나 테이블 손상, MariaDB 서비스 On/Off등에 대한 중요 정보에 대해서 기록하며, 기록의 자세한 내용을 옵션으로 조절 할 수 있다. Error Log 설정 확인 mysql > show variables like '%log_error%'; 아직 Log 파일이 설정되어 있지 않는 상태이다. 해당 로그파일 경로에 절대 경로 혹은 DAT.. 2024. 2. 2. [Oracle] Table / Column Comment - 코멘트, 설명 달기 Comment -- Table Comment 추가 comment on table [Table Name] is '[Table Comment]'; -- Column Comment 추가 comment on column [Table Name].[Column Name] is '[Column Comment]'; 오라클의 테이블과 컬럼에 대한 코멘트를 다는 방법은 매우 간단하다. 테이블, 컬럼은 여러 사람이 같이 사용하는 공공재라고 볼 수 있는데, 이런 테이블과 컬럼에 코멘트를 달아 자세한 설명을 추가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테이블이나 컬럼 명칭은 표준화로 명확하지만 심플하게 만들되, 코멘트는 최대한 자세히 추가한다고 생각하자. Table Comment 테이블에 대한 코멘트 추가, 변경, 삭제는 하나의 명령어로 모.. 2024. 1. 26. [MariaDB][Linux] Log Setting (1) - General Log, Slow Query Log 설정하기 MariaDB Query Log 설정 MariaDB에는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지원되는 여러가지 Log 기능들이 있다. 그 중에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쿼리에 대해 저장하는 General Log와 특정 시간 이상 걸리 쿼리에 대해 저장하는 Slow Query Log가 있다. 이외에도 사용되는 많은 Log가 있지만, 오늘은 이 두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General Log MariaDB의 Audit과도 같은 Log 라고 볼 수 있는데, MariaDB의 모든 쿼리에 대한 로그를 저장한다. 여기에는 Slow Log, Error Log 등의 값도 포함이 된다. Genral Log 설정 확인 show variables like '%general%'; General Log는 위와 같은 명령어로 상태값을 .. 2024. 1. 19.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2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