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메모리 확인 방법 - Memory 상세 정보 / 실시간 사용량](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BrZVj%2FbtsKTBniwiI%2FyMiOOKnOOka0KkCt3S5W71%2Fimg.png)
Linux Memory서버운영에 있어서 가장중요한 리소스 중 하나인 메모리에 대해 조회하는 방법에 대해서 간단하게 소개한다.상세 정보에 대해서 보는 방법과 운영중 실시간 사용량을 확인하는 명령어에 대해서 소개한다. Memory 실시간 사용량free -h 운영중인 서버의 실시간 메모리 사용량을 간략하게 확인 할 수 있는 명령어다.각 의미를 아래의 표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MemSwaptotal메모리의 전체 크기스왑의 전체 크기used현재 사용 중인 메모리의 크기 (shared / buff / cache 포함)현재 사용중인 스왑 크기free현재 사용 중이지 않은 메모리의 크기현재 사용 중이지 않은 스왑의 크기shared여러 프로세스가 공유 하는 메모리 크기-buff/cache디스크 I/O 작업에 사용되는 메..
![[Ignite][Linux] 5. Cluster Node - 신규 노드 추가하기](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MYJkk%2FbtsFRaHxpI6%2FbilZXjZykETStFt2XEYIW1%2Fimg.jpg)
Ignite Cluster Node 이그나이트의 클러스터 구성에 장점중 하나는 새로운 노드를 추가하기 쉽다는 것이다. 이미 구성되어있는 이그나이트 클러스터에 새로운 노드를 추가하는 작업을 진행해보자. Cluster config.xml 설정 파일을 통해 두대의 노드를 클러스터로 연결해둔 상태이다. 노드 설정을 다시한번 확인해보자. 클러스터 설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이전 포스팅을 참고하도록 하자. (글의 맨아래에 링크참고) [노드 1 IP]:[노드 연결 포트] [노드 2 IP]:[노드 연결 포트] 이렇게 설정파일을 설정 후 클러스터를 활성화 하였는데, 현재 클러스터의 상태를 확인해보자. ./control.sh --baseline 클러스터 상태가 active인 것을 확인 할 수 있으며, 두대의 노드가 연결되..
![[Ignite][Linux] 1. Setup - Docker를 활용한 Ignite 설치](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cmQ9YZ%2FbtsD087HnUO%2FSlmCeTWxaekps32qf6byB1%2Fimg.jpg)
Docker로 Ignite 설치하기 Apache Ignite를 설치하는 방법이 몇 가지있지만 그 중 Docker를 활용하여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해볼까 한다. 리눅스에 기본적인 도커 설치에 대해서는 아래의 글을 참고 바란다. [Docker][Linux] (1) CentOS7 에서 도커 설치 및 Data Root DIR 변경 이글에 포함된 도커 혹은 도커 명령어에 대한 설명은 나중에 도커 관련 글에서 하도록 하겠다. Docker Image - Ignite Ignite 설치를 위해 도커 이미지를 검색하여 다운받는 과정을 거처야한다. 우선 우리가 설치할 Ignite 이미지를 검색해 보자. docker search ignite 위와 같이 검색시 여러 이미지들이 나오는데 그중 STARS가 제일 많은 apa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