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SQL4

[MsSQL] SET STATISTICS 옵션을 활용 - 실제 실행 계획 상세보기 실제 실행계획 상세보기MsSQL 에서는 실행계획을 볼 수 있는 방법이 여러가지 있지만.대부분 그래프 이미지로 밖에 볼 수 없다. 기존의 실행계획 표시인 텍스트와 I/O 관련정보 등을 손쉽게 볼 수 있는 옵션에 대해서 소개하도록 하겠다. SET STATISTICSSET STATISTICS 는 MsSQL에서 쿼리의 성능분석/최적화 등에 도움을 주는 옵션이다.해당 옵션은 세션별로 적용을 하여 해당 세션의 쿼리를 분석할 수 있게 도와준다. 주로 실제 쿼리의 실행계획에 대해 아래의 옵션 3개를 활성화하여 확인한다.SET STATISTICS PROFILE ONSET STATISTICS IO ONSET STATISTICS TIME ON 해당 옵션을 활성화 하고 원하는 쿼리를 실행하여 쿼리가 실행 완료되면 실행계획과 .. 2024. 11. 20.
[MSSQL] 커서(CURSOR) - 행(ROW) 단위 처리의 사용 법 Intro 안녕하세요. 초보 DBA 다뉴입니다. 처음 Database로 업무를 하고 제일 많이 사용했던 것이 오늘 소개할 커서라는 것 인거 같은데요. 나중에 알고보니 커서를 사용하기에 느려지는 트랜잭션들이 많다는 것을 알게되고, 최대한 줄이려고 노력한 것도 이 커서입니다. 하지만 필요할 때 사용해야 하는 커서(cursor)에 대해서 알아두면 좋으니 한번 알아보도록 하죠. Cursor 커서(Cursor) 란? 커서는 데이터의 처리를 집합단위가 아닌 행 (ROW)단위로 처리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일종의 반복문이죠. 데이터를 행단위로 처리하기에 행단위 작업에 대한 장점이 있지만, 일괄 처리를 하지않고 각 행의 조회, 처리, 커밋 등의 단위작업이 포함되게 되므로 속도가 느려질 수 있습니다. BOF (Begin .. 2023. 9. 6.
[MariaDB] 현재 Process 보는 방법 및 모니터링 팁 Intro 안녕하세요. 초보 DBA 다뉴입니다. MariaDB를 운영하며, 프로세스의 상태를 확인해야 할 때가 많은데요. 프로세스 모니터링을 하는 방법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며, 좋은 팁을 하나 남길까 합니다. 프로세스 확인 방법 ProcessList MariaDB의 가장 기본적으로 접속되어있는 프로세스를 보는 방법은 processlist 라는 명령어 입니다. 해당 명령어를 사용하기위해 먼저 MariaDB에 접속합니다. mysql -u[user_id] -p[user_pw] MariaDB의 접속 후 아래의 명령어를 실행하여, 현재 접속중인 프로세스에 대한 정보를 확인합니다. Show Processlist; ... 현재 프로세스에 대한 여러가지 간단한 정보를 알 수 있는데요. show processlist.. 2023. 7. 22.
[MariaDB] SQL 파일 실행 - 대용량 insert 문 Intro 안녕하세요. 초보 DBA 다뉴입니다. 요번에 2000만 row가 넘는 데이터를 insert를 해야하는 일이 생겼는데요. 평범하게 받았으면 뭔가 평소처럼 작업했을 텐데... 전달받은 파일이 .sql 파일이였습니다. sql 파일의 크기부터가 4GB가 훨씬 넘었는데요. 파일이 DBMS에서도 안열리고... 수정해도 저장도 안되고... 이리저리 방법을 찾다보니 sql 파일을 다이렉트로 실행하는 방법이 있었습니다. 그 방법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죠. 알아두기 SQL 파일 SQL 파일은 쿼리문으로 이루어진 파일입니다. 저장 확장자부터가 sql인 만큼 기본적으로 텍스트 형식으로 되어있으며, DBMS 혹은 텍스트 편집기를 통하여 열어볼 수 있습니다. 작업해야 할 SQL 파일 내용 전달받은 것은 SQL 파일뿐이였.. 2023. 7.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