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FTP 설치 및 사용 - FTP Server, FTP Client 설치](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KHnTi%2FbtsFKOsc5bu%2FWxvamiyP7Xtxz6kS8mISE0%2Fimg.png)
FTP 원격지에 파일을 다운받거나, 업로드를 하여 파일을 전송해야 할 때가 있다. 이럴때 사용되는 일반적인 방법이 바로 FTP(File Transfer Protocol)를 활용하는 방법이다. 리눅스 서버에서 FTP를 사용하기 위해 원격지의 FTP 서버와 로컬의 FTP 클라이언트에 대해 설치하는 방법 및 사용법에 대해 간략하게 소개하도록 하겠다. FTP Server - vsftpd FTP 서버는 원격지를 말한다. 우리가 접속하여 파일을 업로드 하거나, 다운로드 하는 곳을 말한다. FTP 서버 서비스가 설치되어 실행되고 있어야 FTP(파일 전송 프로토콜)를 사용하여 접속 할 수 있다. CentOS7을 사용하는 리눅스 환경에서는 vsftpd라는 FTP Server 서비스를 이용한다. vsftpd의 설치와 세팅..
![[Linux] 방화벽 설정 - 특정 포트 설정하기 (firewalld)](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5e9BG%2FbtsFuOsc2g8%2FNbjf9A15d1JvTBhvgxk8Gk%2Fimg.png)
firewalld firewalld 명령어를 통해, 특정 포트에 대한 방화벽 설정에 대해 다루도록 하겠다. 만약 firewalld 가 설치되어있지 않다면, 아래의 명령어를 통해 설치 및 서비스 실행을 하면된다. yum install firewalld systemctl start firewalld systemctl enable firewalld firewalld 명령어 사용되는 명령어는 아래와 같다. -- firewall 전체 정보 리스트 확인 firewall-cmd --list-all -- firewall 포트 정보 리스트 확인 firewall-cmd --list-ports -- firewall 방화벽 포트 임시 추가 firewall-cmd --add-port=9999/tcp -- firewall 방화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