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gnite][Linux] 3-2. Config.xml - 보안 설정(계정) / 스키마](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VfCrL%2FbtsFlPysNIZ%2FUHiRalTcoVWK36qLtUEfNK%2Fimg.jpg)
Ignite Config 옵션 두번째 두번째 내용으로는 간단한 Database Object 관련 된 설정을 알아보도록하자. [Ignite][Linux] 3-1. Config.xml - Memory / disk 관련 기본 설정 위에 링크한 첫번째 포스팅을 꼭 참고하길 바란다. 이전과 같이 config.xml파일에 추가하여 넣는 방법이다. 인증 설정 Ignite는 보안 설정인 인증은 기본적으로 비활성화가 되어있다. 비활성화의 경우 ID / PW없이 Database에 로그인이 가능하며, 해당 옵션을 활성화 할 경우, ignite / ignite 라는 기본 계정이 발급된다. 영구 저장소가 활성화 되어있어야 인증 설정을 활성화 할 수 있다. 당연하게도 새로운 계정을 만든다고 생각해봤을때, 영구적으로 저장이 되지않..
![[Ignite][Linux] 3-1. Config.xml - Memory / disk 관련 기본 설정](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ebtBon%2FbtsFb9in3Uc%2FwSJYtknKoe41x60K4wgJZk%2Fimg.jpg)
Ingite Config 옵션 Ignite의 옵션들은 Config.xml 파일을 통해 적용을 하는것을 기본으로 한다. Config.xml 파일에서 설정 할 수 있는 옵션들은 매우 많지만, 이번 포스팅에서는 운영에 직관적으로 필요한 간단한 옵션들 중 Memory와 Disk관련 된 설정에 대해서 적용해보도록 하겠다. 이전 포스팅에서 config.xml파일을 마운트해서 사용하는 방법을 통해 도커 컨테이너에서 실행 될 Ignite에 옵션들을 적용해본다. [Ignite][Linux] 2. Setting - Docker를 활용한 Ignite 세팅 default-config.xml Ignite는 기본적으로 다른 설정이 없다면, {$IGNITE_HOME}/config 에 위치한 default-config.xml을 불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