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방화벽 설정 - 특정 포트 설정하기 (firewalld)](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5e9BG%2FbtsFuOsc2g8%2FNbjf9A15d1JvTBhvgxk8Gk%2Fimg.png)
firewalld firewalld 명령어를 통해, 특정 포트에 대한 방화벽 설정에 대해 다루도록 하겠다. 만약 firewalld 가 설치되어있지 않다면, 아래의 명령어를 통해 설치 및 서비스 실행을 하면된다. yum install firewalld systemctl start firewalld systemctl enable firewalld firewalld 명령어 사용되는 명령어는 아래와 같다. -- firewall 전체 정보 리스트 확인 firewall-cmd --list-all -- firewall 포트 정보 리스트 확인 firewall-cmd --list-ports -- firewall 방화벽 포트 임시 추가 firewall-cmd --add-port=9999/tcp -- firewall 방화벽..
![[Ignite][Linux] 3-2. Config.xml - 보안 설정(계정) / 스키마](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VfCrL%2FbtsFlPysNIZ%2FUHiRalTcoVWK36qLtUEfNK%2Fimg.jpg)
Ignite Config 옵션 두번째 두번째 내용으로는 간단한 Database Object 관련 된 설정을 알아보도록하자. [Ignite][Linux] 3-1. Config.xml - Memory / disk 관련 기본 설정 위에 링크한 첫번째 포스팅을 꼭 참고하길 바란다. 이전과 같이 config.xml파일에 추가하여 넣는 방법이다. 인증 설정 Ignite는 보안 설정인 인증은 기본적으로 비활성화가 되어있다. 비활성화의 경우 ID / PW없이 Database에 로그인이 가능하며, 해당 옵션을 활성화 할 경우, ignite / ignite 라는 기본 계정이 발급된다. 영구 저장소가 활성화 되어있어야 인증 설정을 활성화 할 수 있다. 당연하게도 새로운 계정을 만든다고 생각해봤을때, 영구적으로 저장이 되지않..
![[Ignite][Linux] 3-1. Config.xml - Memory / disk 관련 기본 설정](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ebtBon%2FbtsFb9in3Uc%2FwSJYtknKoe41x60K4wgJZk%2Fimg.jpg)
Ingite Config 옵션 Ignite의 옵션들은 Config.xml 파일을 통해 적용을 하는것을 기본으로 한다. Config.xml 파일에서 설정 할 수 있는 옵션들은 매우 많지만, 이번 포스팅에서는 운영에 직관적으로 필요한 간단한 옵션들 중 Memory와 Disk관련 된 설정에 대해서 적용해보도록 하겠다. 이전 포스팅에서 config.xml파일을 마운트해서 사용하는 방법을 통해 도커 컨테이너에서 실행 될 Ignite에 옵션들을 적용해본다. [Ignite][Linux] 2. Setting - Docker를 활용한 Ignite 세팅 default-config.xml Ignite는 기본적으로 다른 설정이 없다면, {$IGNITE_HOME}/config 에 위치한 default-config.xml을 불러..
![VSCode - Visual Studio Code 한글 설정](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NAMee%2FbtskZmwCOVx%2FQrCuVeZpVkRP8FkgFJhEdk%2Fimg.png)
안녕하세요. 다뉴입니다. 오늘은 Python 을 사용할 때 많이 사용하는 에디터 VSCode의 한글 설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매우 간단하여, 따라하면 바로 한글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Ctrl + Shift + P 키 입력 후 아래와 같이 >configure display languag를 입력합니다. 한국어 KO 를 선택하여 설치합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적용 후 재시작 하면 한글버전이 됩니다. VSCode에 대해 한글 설정 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영어로 하는 것이 더 편한 부분도 있지만, 저는 영어를 잘 하지 못하여 영어보다는 한글일 때가 전체적으로 더 편하더라구요. 필요하신 분들은 한번 설정해보시는게 좋겠습니다. 많은 분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라며, 다음에도 좋은 정보로 찾아오겠습..
![[Oracle] TNS 설정 - tnsnames.ora 파일 / SQL Developer 설정](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gkSBU%2FbtskA6UnvrY%2FOuaIKvMWp1Q5D13ylA2uA1%2Fimg.png)
Intro 안녕하세요 초보 DBA 다뉴입니다. 오늘은 오라클을 사용하기 위한 접속정보를 설정하는 TNS설정에 대해서 알아 보도록 하죠! TNS 설정 tnsname.ora 파일이란? tnsname.ora 파일은 Oracle Database의 접속관련 정보를 저장해 놓은 파일입니다. Database의 [Service Name] or [SID] , [IP], [Port No] 를 입력해 놓고 저장하여 사용합니다. 파일 내용 구성 [접속 DB 별칭] = (DESCRIPTION = (ADDRESS_LIST = (ADDRESS = (PROTOCOL = TCP)(HOST = [IP])(PORT = [Port No])) ) (CONNECT_DATA = (SERVICE_NAME = [Service Name]) ) ) [..